본문 바로가기

초보 재테크

PBR이란 무엇일까?

개인적으로 재테크를 공부하면서 정리한 내용을 쓰는 곳입니다.

참고 부탁드립니다.

 

PBR 설명

단순히 생각했을 때, "좋은 회사"를 판단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는 "이 회사의 자산에 비해 주가가 적절한가?"를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.

예를 들어, A 라는 회사와 B 라는 회사가 있다고 가정해봅시다.

  • A 회사는 1000원의 자산을 가지고 있고, 주식 한 주당 가격(주가)은 500원이라고 가정해보겠습니다.
  • 반면 B 회사는 동일하게 1000원의 자산을 가지고 있지만, 주식 한 주당 가격은 2000원입니다.

이 경우, 단순히 생각했을 때 A 회사가 B 회사보다 자산에 비해 더 저평가되어 있다고 볼 수도 있습니다. 자산 대비 주가가 낮기 때문에 투자 가치가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할 수도 있다.

 

PBR이란 무엇인가?

PBR은 Price to Book Ratio의 약자로, 주가순자산비율이라고 합니다.

쉽게 말해 PBR = 주가 ÷ 주당순자산(BPS) 의 공식으로 계산됩니다.

  • **주당순자산(BPS)**는 회사의 순자산(자기자본)을 발행한 주식 수로 나눈 값입니다.
  • 즉, PBR은 "회사의 순자산 대비 현재 주가가 몇 배로 평가되고 있는가?"를 나타냅니다.

PBR로 무엇을 알 수 있는가?

  • PBR이 낮은 경우 (1 이하):
    회사가 보유한 순자산에 비해 주가가 저평가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. 이는 투자 가치가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.
  • PBR이 높은 경우 (1 이상):
    회사의 순자산 대비 주가가 고평가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. 이는 시장에서 해당 회사의 미래 성장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는 뜻일 수 있습니다.

결론

PBR을 통해 "이 회사의 주가가 자산 대비 적절한가?"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. 하지만, PBR 하나만으로 투자 결정을 내리는 것은 위험할 수 있습니다.

 

  • 예를 들어, PBR이 낮더라도 회사가 성장 가능성이 없거나 지속적으로 적자를 내고 있다면, 주가가 더 하락할 가능성이 있습니다.
  • 반면, PBR이 높더라도 회사가 빠르게 성장하거나 혁신적인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면 주가는 계속 오를 가능성이 있습니다.

 

'초보 재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PER 이란 무엇일까?  (1) 2021.04.28
ROE란 무엇일까?  (2) 2021.04.09